2011. 7. 28. 22:01 bOOkS gAlore/Middle Grade
My Brother Sam Is Dead
My Brother Sam Is Dead by James Lincoln Collier & Christopher Collier
우왕~~
I loved the book!!!
너무 재미있게 읽어버렸다. 이렇게 너무 심히 재미있게 그리고 빨리 읽어버리면 아깝다. 에궁. 좀 천천히 음미하며 읽을걸... 책을 덮으며 후회한다. 그토록 한번에 휙 지나가는 책이다. 빨리 달리는 말을 타며 고삐를 놓지 못하는 것처럼 긴장감 바짝 타들어간다.
미국독립전쟁.
영국의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이들: Tory, British, Lobsterbacks
자유를 갈망하여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주장하는 이들: Patriots, Americans, Rebels
이렇게 두편만 있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런것은 아니였다.
Redding이라는 작은 마을에 사는 Sam과 Tim은 형제이다. 부모님과 함께 tavern을 운영하며 1775년 독립전쟁의 시작과 함께 이 작고 고용한 마을에 그리고 특별히 Sam과 Tim의 인생이 바뀌게 된다. 형 Sam은 Yale 대학에 재학중인 똑똑한 청년이다. 동생 Tim은 아직 청소년의 티를 벗지 못한 채 부모님을 도우며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다. Sam이 어느날 집에 오는데 한 전투에서 Patriots들이 영국을 이겼다는 소식과 함께 자신도 함께 싸우겠다고 선언한다. Redding은 전통적으로 Tory 편이다. Sam과 아버지는 언쟁을 하고... Sam은 떠난다. 바로 그 대화에서 아빠가 말하는 싸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어쩌면 아버지는 Tory 편도... Rebel 편도 아닌 것일 수도...
"Principle, Sam? You may know principle, Sam, but I know war. Have you ever seen a dear friend lying in the grass with the top of his skull off and his brains sliding out of them like wet oats? Have you ever looked into the eyes of a man with his throat cut and the blood pouring out between his fingers, knowing that there was nothing he could do, in five minutes he would be dead, yet still trying to beg for grace and not being able because his windpipe was cut in two? Have you ever heard a man shriek when he felt a bayonet go through the middle of his back? I have, Sam, I have. I was at Louisbourg the year before you were born. Oh, it was a great victory. They celebrated it with bonfires all over the colonies. And I carried my best friend's body back to his mother - sewed up in a sack. Do you want to come home that way? Do you think I want to hear a wagon draw up one summer's morning and go out to find you stiff and bloody and your eyes staring blank at the sky? Sam, it isn't worth it. Now take off that uniform and go back to your studies."
어찌 자유를 위해 싸우는데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는 Sam의 반문....
그런데 이젠 나도 아버지의 말이 단순히 현실을 회피하고 나만은 살겠다는 말로 들리지는 않는다...
전쟁... 젊은 피... 영웅되기. 높은 가치를 위한 목숨 건 싸움. 영광....
아마도 이 모든 것은 매력적인 모험으로 보일 수 있다. 그래서 Tim이 Sam을 부러워하는 면이 이 책에서도 계속 보여진다.
Tim은 Sam처럼 대학에서 고귀한 사상들에 대해 배워보지 못했다. 단지, 일상에서 그 사상들로 인해 싸우는 옆집 아저씨들의 말을 계속 들어왔다. 과연 누구의 말이 맞을까? 그런데 이 전쟁에는 흑과 백이 존재하는 것일까?
Ever since I could remember, all my life in fact, there had been these discussions and arguments and debates about whether we ought to obey His Majesty's government or whether we should rebel. What kept confusing me about it was that the argument didn't have two sides the way an argument should, but about six sides.
참말로.. 맞는 말이다. 한가지의 이슈를 가지고 분명히 두 편으로 나누는 것은 힘든 것 같다.
그래야 상식적으로 맞지만 살면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같은 편이면서도 너무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Of course there are injustices, there are always injustices, that's the way of God's world. But you never get rid of injustices by fighting.
다시 돌아오게 되는 원점이다. 프랑스혁명, 러시아 혁명, 독립전쟁.... 등등. 수많은 전쟁들 중 불의에 맞써 싸운다는 대의를 가지고 진행해서 과연 불의를 깨끗하게 이겨낸 경우는 몇일까? 그렇다면 불의에, 불공정함에 그저 굴복하라는 것일까?
히틀러를 싸우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독재자를 감내해야 하는 것일까?
간단하지만은 않은 문제.
War turns men into beasts. It's cheaper to shoot a boy than to feed him
허나... 전쟁이 사람을 동물보다 못한 몬스터로 바꿔놓는다는 사실에는 아무도 반론을 하지 못할 것이다. 어느 편에 서있던지 그것은 상관없이 적용된다.
다정다감하고 질서정연한 전쟁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언뜻...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한국의 교육실정.... 한국의 사회는 전쟁이다라는 것.
너무 오버하는 것일까?
It seemed to me that everybody was to blame, and I decided that I wasn't going to be on anybody's side any more: neither one of them was right.
희생.
전쟁은 항상 희생을 요구한다.
이 책에서 Tim은 많은 사람들이 죽는 것을 본다. 같은 동네 사람들, 친구, 가족.... 하물며 이 책의 제목이 도발적으로 얘기하듯, My brother Sam is dead. 가장 가까운 형제까지 잃게 되는 것... 그 어이없음. 그 슬픔.... 허나 이를 딛고 일어나 살아가게 되는 삶.
책의 맨 마지막에 남는 한마디.... Tim은 형이 죽고 어머니와 일상을 일궈서 가족도 이루고 자신도 어엿한 할아버지가 된 시점에 다음의 말로 끝맺음을 한다.
"In war the dead pay the debts of the living," and they have paid us well. But somehow, even fifty years later, I keep thinking that there might have been another way, beside war, to achieve the same end.
'bOOkS gAlore > Middle Gra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arth Paper Strikes Back (2) | 2011.09.26 |
|---|---|
| The Library Card (2) | 2011.09.26 |
| Benjamin Franklinstein Lives! (0) | 2011.06.30 |
| The Fantastic Secret of Owen Jester (0) | 2011.06.26 |
| The Incorrigible Children of Ashton Place (0) | 2011.06.24 |